728x90
반응형
디버그 모드일때는 자연스럽게 작동하던 kakao / google Oauth 는 release 모드 (내부테스트 / 구글스토어)에서 오류가 나곤한다.
그때 카카오톡의 오류 메세지는
이고
구글의 오류 메세지는 'DEVELOPER_ERROR'
이다.
이는 SHA1을 구글 / 카카오 개발센터에 등록하지 않았을때 발생하는데,
firebase 에는
./gradlew signingReport 를 통해 얻은
release / debug sha1 키를 등록해줘야하고
구글 플레이콘솔을 통해 얻은 sha1 키도 등록해줘야한다.
이러면 안드로이드의 구글로그인은 완료가 되며
https://developers.kakao.com/docs/latest/ko/android/getting-started
해당 카카오 개발자센터를 참고하여
debug / release / 구글 sha1 를 base64로 인코딩하면된다.
개발자 센터에 이렇게 sha256키 1개 / sha1 키 3개씩이 등록되면된다.
여기서 구글 sha1키를 인코딩하는 명령어는
echo "여기에 sha1키를 따옴표 제거하고 붙여넣기" | xxd -r -p | openssl base64
이러면 구글 / 카카오 로그인이 개발 / 릴리즈 / 구글스토어 에서 모두 정상 작동한다.
728x90
반응형